와인과 사진이야기

토목기술사인 사진작가 다람이 인생3막에 농부가 되어 직접생산한 포도로 정성드려 빚은 열정과 낭만의 와인 그리고 사진이야기

Achimmaru winery

카테고리 없음

영화정보_태풍

daram93 2005. 12. 23. 07:40

제작비란 감독에게 있어서 ‘표현의 자유’를 의미한다. 상상을 현실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어쨌든 ‘돈의 규모’에 비례하는 법이니까. 하지만 제작비는 감독이나 제작자에게 ‘흥행 부담’이라는 족쇄를 동시에 채워준다. 약과 독을 동시에 주는 셈이다. ‘들인 만큼 뽑아야 한다’. 당연하지 않은가. 150억. 동그라미 숫자를 세는 데도 한참이 걸리는 이 어마어마한 숫자는 <태풍>(감독_곽경택, 제작_진인사필름, 배급_CJ엔터테인먼트)의 순제작비다. 보통 영화 2~3편은 만들 수 있는 큰 돈을 썼다는 것은 ‘보통’ 영화들이 보여주지 못하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뜻이다. <태풍>은 여러 가지로 역대 최고의 스케일을 자랑한다. 장동건과 이정재라는 특A급 스타들을 캐스팅 했고, 태국과 러시아 등을 돌며 대규모 해외 촬영도 했다.

특히 이번 영화에서 심혈을 기울인 것은 ‘해양 액션’ 장면이다. 해적인 씬(장동건)과 해군인 강세종(이정재)의 주요 활약 무대가 바다이기 때문이다. 실감나는 해양 액션 신들을 만들어내기 위해 <태풍>의 제작진은 한국에서는 한번도 시도된 적이 없다는 ‘김블(Gimbal) 장치’가 구축된 수조세트를 만들었다. 상상해 보라. 실내에서 실물 크기의 배를 띄우고 파도도 만들어 영화를 찍는 풍경이라니. 실제로 영화의 클라이맥스 부분인 씬과 세종이 ‘태풍호’에서 벌이는 마지막 접전 장면은 꽤 근사하게 나왔다. 사실 <태풍> 같은 초대형 블록버스터의 주요 셀링 포인트는 스타를 포함한 ‘볼거리’다. 웬만한 제작비로는 꿈도 못 꾸는 것을 시도해 7천원을 내고 기꺼이 영화관을 찾은 관객들에게 시각적인 쾌감을 선사할 수 있다는 점은 대단한 매력 포인트다. 영화의 내용과 상관없이 호화찬란한 블록버스터는 그 자체로 관객들을 유인하는 거부할 수 없는 미끼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곽경택 감독은 이미 2001년에 <친구>라는 영화로 ‘대박’의 희열이 어떤 것인지를 충분히 맛본 바 있다. 820만이라는 숫자도 결코 만만한 숫자는 아니지 않은가. 그러나 여전히 ‘배가 고픈’ 곽경택 감독은 <태풍>을 기획하는 순간부터 ‘대박 신화’에 대한 야심을 숨기지 않았다. ‘억’ 소리 나는 제작비로 영화를 만드는데 감독 자신이 원하는 것과 일반 대중들이 원하는 것의 간극이 크고 깊다면 이보다 더 비극적인 케이스는 없을 것이다. 다행히도 곽경택 감독은 그 간극이 크지가 않았다. 아무도 시도할 수 없는 비주얼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정서로 영화 전체를 포장하기로 했다. 바로 한국인의 마음을 언제 어느 때나 움직일 수 있는 영원한 감동 코드이자 ‘약한 고리’이기도 한 ‘분단과 가족’이다. 여기에 덧붙여 곽경택 감독의 영화에 언제나 흘러넘치는 ‘남성 호르몬’까지. 500만 이상의 관객이 가능 하려면 40대 이상, 그리고 남성들이 움직여줘야 한다는 말이 있는데 <태풍>이 다루고 있는 외양이나 내용은 초대형 블록버스터가 갖추어야 할 모든 것이 다 포함돼 있는 셈이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태풍>이 스토리나 캐릭터 면에서 다소 수학 공식 같은 느낌을 준다는 것이다. ‘두 남자의 피할 수 없는 대결’을 컨셉으로 하는 영화이기 때문에 씬과 강세종의 캐릭터를 극적으로 대비시킬 필요는 분명히 있었으나 씬은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 모든 게 끓어 넘치고, 강세종은 너무 교과서적이고 이상적이어서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바른 청년’으로 묘사된다. 두 남자가 정반대의 모습으로 보이기는 해도 어쨌든 각각 ‘완벽한 남성 판타지’ 그 자체인 캐릭터라 할 수 있다. 문제는 그게 너무 정형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씬의 누이인 최명주(이미연) 캐릭터는 너무나 명확하게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하겠다는 의도로 배치된 인물이다. 최명주는 두 남자간의 대결을 더욱 비극적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최명주는 냉철한 강세종의 마음을 흔들리게 하여 가차 없이 없애야 할 적인 씬에게 연민을 느끼게 만드는 존재다. ‘망가진 누이’는 ‘망가진 가족’ 더 나아가 ‘망가진 민족’을 상징하기 때문에 심하다 싶을 정도로 비극적인 상황으로 몰아간다. 동생 먹이려고 빵을 훔치다가 강간당하는 장면은 가히 절정이다. 어쨌든 이 영화를 흐르는 정서는 시종일관 한 단계 ‘업’되어 있는 느낌이다.


<태풍>은 액션으로 시작해 감동 드라마로 갔다가 액션으로 마무리되는 흐름을 가지고 있다. 씬이 제이슨호를 탈취하는 장면으로 시작해 강세종이 그를 잡기 위해 쫓는 부분이 전반부의 주요 액션 장면이라면, 씬이 러시아에서 누이와 상봉하면서 그의 비극적인 가족사가 공개되는 것이 중반부 ‘감동 드라마’ 부분이다. 그리고 마지막 두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면서 동시에 ‘태풍호’를 타고 한반도를 날려 버리기 위해 진격하는 씬과 그를 목숨 걸고 저지하기 위해 ‘태풍호’로 진입하는 강세종과의 운명적 마지막 대결이 후반부의 주요 내용이다. ‘액션 블록버스터’라는 이름을 걸고 나온 <태풍>은 ‘태풍호’에서 두 사람이 단검으로 승부하는 마지막 액션 장면을 제외하고는 액션 장면이 아주 새롭거나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 감독 스스로도 “영화 초반부 제이슨호 액션 장면과 강세종의 카 체이스 장면이 아쉽다. 제일 나중에 찍었는데 돈이 떨어져서 생각대로 작업하지 못했다”라고 기자 간담회에서 밝힌 바 있다. 그래서 그런지 뭔가 액션 연출이 정교하지 못하고 하다가 만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익숙하지만 다소 낡은, 그리고 시종일관 영화를 지배하는 ‘과잉’ 정서, 분단과 민족 문제에 대한 다소 피상적이고 감상적인 접근, 공식 같이 설정된 전형적인 캐릭터 등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태풍>은 일반 관객들의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과 그 안에서 감독 나름의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자 했던 고민의 흔적이 엿보이는 남다른 스케일의 상업 영화임에는 틀림없다. 이젠 감독의 말대로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다했으니(盡人事) 이젠 ‘하늘의 뜻을 기다리는(待天命)’일만 남았다.

 
[자료출처: www.nkino.com - 2005.12.19]